HOME
물생활
일상생활
개발

AWS 6

AWS ec2 웹서버 설치 후 브라우저에서 접속 안될 때

남들 다 하는 서버 세팅을 이제서야 느적느적 공부하고 있다. AWS에서 ec2 인스턴스를 만들고, 아파치를 깔았는데도 브라우저에서 ip로 접속했을 때 안 나온다. ssh에서 systemctl status httpd로 확인해봤을 때 서버는 active 상태였다. 그런데 브라우저 접속은 안 된다. 나는 왜 남들 다 하는 것도 이렇게 못하나 하고 자책하다가 가만 생각을 해본다. 당연히 안 되는 거였다. 80번 포트를 안 열어줬다. ec2를 생성하면 기본적으로 ssh 접속이 가능한 22번 포트만 열려있다. 브라우저에서 ip로 접속하려면 80번 포트를 열어줘야한다. 후에 ssl을 적용한다면 443번 포트도 열어준다. 그건 그때 가서 하도록 한다. EC2 포트 설정 AWS EC2로 들어가서 인스턴스 리스트를 확인한..

개발 2024.02.11

가비아에서 구매한 도메인을 AWS의 ec2에 연결하기

가비아에서 도메인 구입하기 도메인의 필요성 웹사이트 개발, 블로그 등 도메인이 사용되는 곳은 매우 많다. 브라우저로 웹사이트에 접속했을 때 나타나는 도메인 주소는 해당 사이트의 특징을 나타낸다 쇼핑몰이라면 무엇 vivacolor96.tistory.com AWS의 Route 53에서 도메인을 구매해도 되지만, 나는 가비아에서 도메인을 구매했다. 클라우드 서버는 AWS에 만들었으니, 서버에 도메인을 붙이려면 AWS에서의 작업이 필요하다. AWS Route 53 설정 검색창에 Route 53 검색하고 들어가서, 좌측의 호스팅 영역 메뉴로 들어간다. 호스팅 영역 페이지에서 호스팅 영역 생성 버튼 클릭. ec2 인스턴스에 연결할 도메인을 도메인 이름에 넣어주고, 설명은 필요하면 적는다. 호스팅 영역 생성 클릭 호..

개발 2024.02.10

AWS ec2 생성할때 키 페어 가져오기 (pem키 재사용 방법)

ec2 인스턴스를 새로 하나 팠는데, 이전에 썼던 pem 키를 재활용하고 싶었다. 어차피 테스트 서버 용도로 사용하고 있는데 키만 많아지면 헷갈리고 관리하기 귀찮다. 새로 만들까 하다가 이전에 사용했던 pem키를 재사용하기로 한다. 키 페어 가져오기 AWS 콘솔 검색창에서 키 페어를 검색한다. 특징 아래 키 페어 클릭. 키 페어 페이지 우측 상단에 작업 버튼을 누른다. 키 페어 가져오기 클릭한다. 이름을 작성하고, 찾아보기 버튼 눌러서 pem키 파일의 경로에서 가져온다. 그리고 우측 하단 키 페어 가져오기 버튼 클릭. Value for parameter PublicKeyMaterial is invalid. Length exceeds maximum of 2048. 오류난다. 역시 쉽게 될리가 없지. 퍼블릭..

개발 2024.02.09

AWS ec2 인스턴스에 탄력적 ip 설정하기

탄력적 ip를 설정하기 전, ec2 인스턴스를 생성한다. AWS에서 ec2 인스턴스 생성하는 방법은 아래 게시글 참고. AWS에서 무료 클라우드 서버 사용하기 간단하게 사용할 테스트 서버 셋팅을 위해 무료 클라우드 서버를 사용하기로 했다. OCI등 여러가지 클라우드 서버가 있지만, 역시 많이 쓰이는 AWS(Amazon Web Services)의 프리 티어를 사용하기로 한다 vivacolor96.tistory.com AWS에서 ec2를 생성했다면, 탄력적 ip를 적용하는 게 추천된다. 탄력적 IP를 사용하는 이유 ec2 인스턴스를 껐다 켤 때가 있는데, 이럴 때마다 ec2 ip가 바뀐다고 한다. 서버 셋팅 다 해놓고 도메인도 연결해놨는데 그러면 귀찮아진다. 이런 문제를 사전에 방지해 줄 수 있는게 탄력적 ..

개발 2024.02.08

FTP로 AWS EC2 접속하기 (with FileZilla)

AWS에서 만든 인스턴스에 ftp로 접속하기 위해 파일질라를 이용해보기로 한다. AWS에서 클라우드 서버 무료로 만들기는 아래 링크 참고 https://vivacolor96.tistory.com/87 AWS에서 무료 클라우드 서버 사용하기 간단하게 사용할 테스트 서버 셋팅을 위해 무료 클라우드 서버를 사용하기로 했다. OCI등 여러가지 클라우드 서버가 있지만, 역시 많이 쓰이는 AWS(Amazon Web Services)의 프리 티어를 사용하기로 한다 vivacolor96.tistory.com 위 게시글에서 AWS의 프리 티어 서비스를 이용해 무료 클라우드 서버를 생성했다. 생성한 서버에 FTP로 접속하기 위해 필요한 준비물이 있다. AWS 인스턴스에 FTP 접속을 위한 준비물 1. FTP 접속 프로그램..

개발 2023.12.20

AWS에서 무료 클라우드 서버 사용하기

간단하게 사용할 테스트 서버 셋팅을 위해 무료 클라우드 서버를 사용하기로 했다. OCI등 여러가지 클라우드 서버가 있지만, 역시 많이 쓰이는 AWS(Amazon Web Services)의 프리 티어를 사용하기로 한다. AWS 접속 및 준비 무료 클라우드 컴퓨팅 서비스 - AWS 프리 티어 이러한 프리 티어 혜택은 AWS 신규 고객에게만 제공되며 AWS 가입일로부터 12개월 동안 유효합니다. 12개월의 무료 사용 기간이 만료되거나 애플리케이션 사용량이 프리 티어 범위를 초과할 경우 aws.amazon.com 위의 AWS 홈페이지로 접속해서, "콘솔에 로그인" 버튼을 누르면 회원가입 혹은 로그인을 한다. 로그인 후에는 콘솔 홈에 접속이 가능하다. 콘솔 홈에서 인스턴스라고 검색한다. 검색 결과 중 EC2(클라..

개발 2023.12.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