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물생활
일상생활
개발

개발

가비아에서 구매한 도메인을 AWS의 ec2에 연결하기

듀비양 2024. 2. 10. 09:01
 

가비아에서 도메인 구입하기

도메인의 필요성 웹사이트 개발, 블로그 등 도메인이 사용되는 곳은 매우 많다. 브라우저로 웹사이트에 접속했을 때 나타나는 도메인 주소는 해당 사이트의 특징을 나타낸다 쇼핑몰이라면 무엇

vivacolor96.tistory.com

AWS의 Route 53에서 도메인을 구매해도 되지만, 나는 가비아에서 도메인을 구매했다.

클라우드 서버는 AWS에 만들었으니, 서버에 도메인을 붙이려면 AWS에서의 작업이 필요하다.

 

AWS의 Route53 호스팅영역 페이지
AWS의 Route53 호스팅영역 페이지

검색창에 Route 53 검색하고 들어가서, 좌측의 호스팅 영역 메뉴로 들어간다.

호스팅 영역 페이지에서 호스팅 영역 생성 버튼 클릭.

 

호스팅 영역 생성
호스팅 영역 생성

ec2 인스턴스에 연결할 도메인을 도메인 이름에 넣어주고, 설명은 필요하면 적는다.

호스팅 영역 생성 클릭

 

생성된 호스팅 레코드
생성된 호스팅 레코드

호스팅 영역이 생성되면 레코드 리스트가 나온다.

우측의 레코드 생성 버튼 클릭한다.

 

레코드 생성
레코드 생성

레코드 유형은 A.

값에는 도메인 적용 할 ec2 인스턴스의 ip를 적어준다.

이 정보는 나중에 로드밸런서 통해서 SSL 적용할 때 바뀔 수 있다.

 

가비아에 접속해서 도메인의 네임서버를 AWS의 네임서버로 변경해주어야 한다.

해당 도메인의 관리를 가비아가 아닌 AWS에서 하겠다는 뜻이다.

사실 안 해도 되는데 나중에 로드밸런서 통해서 ssl 적용할 거 생각해서 미리 해둔다.

 

가비아에서도 ssl 인증서 발급이 가능하니, AWS 통해서 ssl 적용 안 할거면 안 해도 된다.

 

AWS Route53 레코드 목록
AWS Route53 레코드 목록

Route 53에서 설정한 레코드 목록 중 NS의 값/트래픽 라우팅 대상을 복사해둔다.

각 도메인 뒤에 .은 빼준다.

이 정보를 가비아 도메인의 네임 서버에 적용해줄거다.

 

가비아 접속

 

웹을 넘어 클라우드로. 가비아

그룹웨어부터 멀티클라우드까지 하나의 클라우드 허브

www.gabia.com

로그인 후 My가비아 > 도메인으로 접속한다.

 

내 도메인 목록
내 도메인 목록

내 도메인 목록에서 DNS를 설정 할 도메인의 관리 버튼을 누른다.

도메인 정보와 네임서버
도메인 정보와 네임서버

도메인 상세정보가 나오는데, 네임 서버 옆에 설정 버튼 눌러준다.

 

네임서버 설정
네임서버 설정

Route53의 레코드 중 네임서버의 값/트래핑 라우팅 대상에 있던 도메인 4개를 작성해준다.

1차~4차 모두 작성하고, 위에서 말 했듯 맨 뒤의 온점은 빼준다.

 

소유자 인증
소유자 인증

네임서버 값을 작성한다고 바로 적용되는건 아니고, 소유자 인증을 해야한다.

네임서버 적는 곳 아래에서 소유자 인증도 완료해준다.

휴대폰 인증으로 쉽게 가능하다.

 

네임서버 설정 완료

가비아에서의 네임서버 설정도 완료되었다.

서버에 웹서버 설치하고, 서버가 정상적인 상태라면 도메인으로 접속했을 때 서버에 잘 들어가진다.

안 되면 조금 기다렸다가 확인해보기.